2020. 2. 1 - 10일 수출입 현황 | |||
---|---|---|---|
등록일 | 2021-02-23 오전 9:08:48 | 조회수 | 9 |
sejung@sejungcs.co.kr | 작성자 | 관리자 | |
1. 총 괄 ㅇ (2.1.∼2.20.) 수출 304억 달러, 수입 31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6.7%(43.6억 달러↑) 증가, 수입 24.1%(61.4억 달러↑) 증가 - (연간누계) 수출 784억 달러, 수입 75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3.4%(92.8억 달러↑) 증가, 수입 11.3%(76.8억 달러↑) 증가 ※조업일수[(’20)15.5일,(’21)14일]고려 시 일평균 수출액[(’20.2.)16.8,(’21.2.)21.7억 달러] 29.2% 증가 2. 수출현황 ㅇ (주요품목)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(27.5%), 승용차(45.9%), 무선통신기기(33.6%)등 증가, 석유제품(△5.7%), 컴퓨터 주변기기(△4.8%)등 감소 ㅇ (주요국가) 중국(32.7%), 미국(14.0%), 유럽연합(53.6%), 베트남(10.9%), 일본(6.5%) 등 증가, 중동(△31.3%), 싱가포르(△21.0%) 등 감소 3. 수입현황 ㅇ (주요품목)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(10.3%), 가스(59.6%), 기계류(18.6%), 정밀기기(14.5%) 등 증가, 원유(△17.8%), 석유제품(△13.3%) 등 감소 ㅇ (주요국가) 중국(95.6%), 미국(6.9%), 일본(17.2%), 유럽연합(6.5%), 베트남(30.3%) 등 증가, 중동(△8.0%)은 감소 ※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※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,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(2022년 2월)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. |
이전글 | 베트남 의류에 들어간 한국산 직물, EU-베 FTA 혜택 받는다 |
---|---|
다음글 | 면세점 상위 5개 업체 매출 전년 대비 44% 마이너스 기록 |